논어 93

논어 옹야편- 공자님은 우리 마음까지 꿰뚫고 계셨습니다

혹시 요즘 마음이 시끄러우시진 않으신가요?사람들과의 관계, 말 한마디에 흔들리는 감정,잘해보려는 노력조차 때로는 오해가 되는 날들....그럴 땐, 문득 옛사람의 말이 궁금해집니다."그때 그분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그리고 우리는 그 답을 논어, 그중에서도 ‘옹야(雍也)’ 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옹야편은 전체 논어 중에서도 사람과 사람 사이의 깊은 감정,그리고 인간다움에 대한 성찰이 묻어나는 부분입니다.단순한 명언이 아니라,지금 이 시대의 관계 피로를 위로하는 고요한 문장들이 담겨 있지요. 옹야, 사람 냄새 나는 공자 이야기옹야(雍也)는 공자의 제자 중 한 사람의 이름입니다.그를 중심으로 제자들과의 관계, 인간됨, 도덕적 태도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지는데요.여기서 공자는 가장 따뜻한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

논어 2025.04.08

맹자와 논어, 지금 내 삶에 진짜 필요한 건 무엇인가요?

오늘 여러분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맹자'와 '논어'입니다.혹시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공자든 맹자든 다 옛날 사람 아니야?""지금 이 바쁜 세상에 무슨 맹자야..."그런데요, 정말 이상하지 않나요?수천 년 전에 쓰인 글인데도, 지금 내 감정과 삶을 꿰뚫는 것 같은 그 문장들."왜 내가 이렇게 힘든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 어쩌면 공자와 맹자가 아닐까?"오늘 그 오래된 텍스트 속에서 지금 우리가 버티고 살아가는 이유를 찾아보려 합니다.논어와 맹자, 그건 단순한 철학서가 아니라 마음의 지도입니다.함께 걸어볼까요? 공자의 논어 - 말이 아닌 '삶'으로 가르친 사람공자의 논어는 말 그대로, 스승과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입니다.하지만 그 대화는 단순한 질문과 대답이 아니라, 삶의 방향..

논어 2025.04.08

논어 한자- 조각난 글자 속에 담긴 공자님의 속마음

오늘은 조금 특별한 주제를 가져왔습니다.'논어 한자'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떠신가요?딱딱하고, 옛날이야기 같고, 시험 공부할 때 잠만 오게 만들던 그 텍스트들...떠오르지 않으시나요?하지만 말입니다.논어의 한자는 단순한 문자들이 아닙니다.수천 년 전 공자님의 생각, 감정, 철학이 녹아든 생생한 기록입니다.한 글자, 한 글자 안에 담긴 뜻을 천천히 읽다 보면"와, 이거 나한테 하는 말 아냐?" 싶어질 때가 있습니다.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이라면 분명 삶에 고민이 있거나,고전의 한 줄에서 어떤 위로를 얻고 싶은 분이실지도 모르겠습니다.그렇다면 오늘, 한자 속에서 마음을 건져보는 시간, 함께 해보시겠어요?  『論語』, 그 시작은 ‘논(論)’이라는 한자부터논어라는 제목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論(논) 이 글자..

논어 2025.04.08

폼보다 본질 – 논어 팔일편이 전하는 경고

당신은 지금 ‘껍데기’를 사랑하고 계시진 않나요?저는 한동안 외형에 집착했습니다.이력서를 멋지게 쓰는 법, 사진 보정, 말투 포장,겉으로 완벽해 보이면 내 삶도 그런 줄 알았습니다.그런데 어느 날, 논어의 '팔일'편을 읽다 그 말에 멈춰 섰습니다."제후가 팔일로 춤을 추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당이 마치 조정 같구나!'"한 줄짜리 이 문장에서 공자는 아주 조용히, 그러나 단호하게 말합니다."이건 너무 지나쳤다""예"의 의미가 왜곡되고 있음을,형식이 본질을 짓누르고 있음을 그는 슬퍼하며 꾸짖습니다.  팔일(八佾), 그 속에 감춰진 깊은 뉘앙스'팔일'이 뭔가요? 단순한 춤 아니에요?‘팔일(八佾)’은 고대 제례에서 사용된 '의식무(儀式舞)'입니다.일(佾)은 춤추는 열을 뜻하고, 한 열에 8명씩 서는 게 '..

논어 2025.04.08

진짜 착한 사람이 뭘까- 논어에서 찾은 ‘인(仁)’의 진짜 의미

착하다는 말, 왜 이렇게 낯설게 느껴질까요?"넌 참 착한 사람이야."들으면 기분 좋아야 하는 말인데... 요즘은 왜 이렇게 낯설게 들릴까요?착함이 손해보는 일처럼 여겨지는 세상,다정하면 만만하게 보이고, 이해하면 이용당하는 기분.그런 시대에 공자는 말했습니다. “仁者 愛人” – 어진 사람은 사람을 사랑하는 이다.정말 그런 사람이 아직도 존재할 수 있을까요?오늘, 그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논어 속 인(仁), 공자의 가장 쉬운 그 한 글자.그 의미를 함께 찾아가 보겠습니다. '인(仁)'은 착한 척이 아닙니다 - 관계의 본질로서의 사랑공자는 인(仁)을 단순히 도덕적인 개념으로 보지 않으셨습니다.그보다 훨씬 깊고, 살아있는 개념이었습니다. “克己復禮爲仁” –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인을 이..

논어 2025.04.07

논어맹자, 진짜 나를 찾는 오래된 지혜

당신도 가끔 길을 잃으시나요?어느 날 문득, 모든 게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사는 건 분명히 잘 살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마음은 왜 이렇게 허전할까요?누구나 그런 순간이 있습니다. 방향은 잃었고, 속도만 붙은 인생.그때 누군가 말해줬으면 했어요."지금 이 길, 정말 너다운 길이 맞느냐고."저는 그런 때 '논어'와 '맹자'를 펼쳐봅니다.책장 한 귀퉁이에 먼지 쌓인 고전을 꺼내 들면 이상하게도...마음이 잦아듭니다.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에게도, 그 고요한 울림을 전하고 싶습니다.고전이요? 아니요. 이것은 우리의 이야기입니다. 논어, 공자가 속삭이는 말들"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은 동이부화하느라"공자는 말합니다. 진짜 어른은 조화로우나 같지 않고,미성숙한 사람은 같아 보여도 조화롭지 않다고요.이..

논어 2025.04.07

논어 지금 읽어야 할 이유

당신의 삶은 어디쯤 와 있나요?"요즘 왜 이렇게 쉽게 지치지...?"생각만 많고 정작 아무 일도 하지 못한 날이 늘어만 갑니다.무든 게 빠르게 흘러가는 세상인데, 나는 왜 자꾸 멈춰 있는 기분일까요?그럴 때 불쑥 누가 말 걸어주면 좋겠다는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그게 꼭 사람이 아니어도 괜찮다면, 전 논어를 추천드립니다.공자의 말은 고리타분할 거라고 생각하셨을 수도 있어요.하지만 막상 펼쳐보면, 한 줄 한 줄이 지금 우리의 마음을 딱! 하고 짚어줍니다.지금 읽으면, 더 깊이 울리는 그 문장들. 그리고 추천드리고 싶은 논어 책들.오늘은 그 이야기를 좀 풀어볼까 합니다.  지금 당장 위로가 필요한 분께 – 『논어: 마음을 닦는 시간』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은 믿음직하고 행동은 공손해야 한다."어쩌면 ..

논어 2025.04.06

논어 속 진짜 이야기 - 논어 속 공자

요즘 마음, 참 복잡하지 않으신가요?사람 사이가 어렵고, 나 자신도 이해 안 되는 요즘.SNS에선 모두 행복한 척하지만, 현실을 매일 퍼즐 같지 않으신가요?그럴 땐 아주 오래전, 아주 단순한 말들이 가슴을 찌릅니다."군자는 의를 따르고, 소인은 이익을 따른다."이 짧은 한 문장이 뇌리를 스치며 가슴을 탁 치는 순간.공자, 그 이름이 다시 떠오릅니다.제가 오늘 소개드릴 내용은 바로 논어 속 공자입니다.단순한 철학책이 아니라, 지금 우리 삶에 와닿는 감정의 매뉴얼이죠.그래서 오늘은 검색 알고리즘이 아니라, 인생 알고리즘을 정래 해보려고 합니다.공자의 논어를 통해서요. 공자라는 이름 속엔 '사람'이 있습니다우리는 종종 "공자는 성인군자야"라는 이미지에 사로잡혀 있습니다.하지만 공자도 외로웠고, 배신당햇고, 세..

논어 2025.04.06

논어집주서설 – 주희가 숨겨둔 철학적 설계도

고전의 첫 페이지, 왜 그토록 중요할까?책을 펼쳤는데, 본문보다 서문이 더 인상 깊었던 적 있으신가요?"이 책은 왜 쓰였는가"를 밝히는 도입부.보통은 건너뛰기 마련이지만, 고전에서의 ‘서설(序說)’은 다릅니다.그냥 시작하는 게 아닙니다.서설은 그 고전 전체를 관통하는 관문입니다. 논어집주서설(論語集註序說)주희가 논어집주를 펴내며 가장 먼저 남긴 글.근데 이거... 그냥 서문이 아니었습니다.이 짧은 글에, 동아시아 유학의 패러다임이 압축돼 있었던 거죠.단순히 "이 책 쓴 이유요~" 정도가 아니라,"나는 왜 공자를 이렇게 해석하는가""무엇이 진짜 학문인가?""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이런 것들이 총체적으로 담겨 있습니다.이쯤 되면, 서설만 읽어도 뭔가 다르다는 느낌이 오지 않으시나요? 논어집주서설, 그..

논어 2025.04.05

논어 집주 – 주희의 관점으로 읽는 논어의 재발견

고전을 읽는다는 것, 여전히 의미가 있을까?논어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겠지만, 실제로 끝까지 읽어본 사람은 드뭅니다.더구나 그 해석서인 논어 집주(論語集註)는 고전 중에서도 어렵다고 알려져 있지요.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바로 이 책이 1000년 넘는 시간 동안, 동아시아의 교육과 정치, 윤리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입니다.왜일까요?단순히 공자의 말을 해석했기 때문만은 아닙닌다.주희는 논어를 자신의 철학적 체계를 통해 새롭게 정리했고, 그 해석은 이후 유학을 사실상 하나의 '이론'으로 만들어냈습니다.논어 집주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유학의 근본을 꿰뚫는 일이 됩니다.그리고 그것은 곧, 동아시아 정신문화의 뼈대를 이해하는 일입니다. 논어 집주란 무엇인가  - 주희의 해석 방식논어 집주는 남송 시..

논어 2025.04.05